<聖 金大建(1821. 8. 21 ~ 1846. 9. 16) 안드레아 신부> 1821년 충청남도 솔뫼(당진군 우강면 송산리)에서 김제준 이냐시오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 부터 아버지의 참다운 가르침을 받으며 자신의 신앙을 다져 나갔다. 성장하면서 그는 하느님과 겨레에 전 생애를 바치고자 성직자의 길을 택하여 1836년 마카오로 건너가 신학문과 신학을 익혀 한국인 최초의 신부로서 1845년 8월 17일 사제로 서품되었다. 그는 서품되기 전에도 갖은 방법으로 죽음의 위협을 무릅쓰고 선교사 입국의 길을 모색하였으며, 이 땅을 다시 밟아 박해받는 교회와 교우들의 유일한 지주로 활약하였다. 겨레의 새로운 희망으로서 그는 짧은 생애나마 오직 복음 전파에 진력하였으며 하느님과 겨레의 구원을 위해 1846년 9월 16일 새남터에서 목숨까지 기꺼이 바쳐 영원한 삶을 입증하였다.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인 김대건 신부는 1925년 7월 5일 복자로 선포되었고 1984년 5월 6일 교황 요한 바오르2세 성하의 방한 시성식에서 성인품에 올라 겨레의 빛이 되었다. jeoldusan071 |
남녀노소 간에,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에, 부자와 가난한 자 사이에, 도시와 농촌 간에, 국가와 국가 간에, 예수와 석가, 공자와 마호메트 사이에, 인간과 자연 사이에도 저 아이들이 만들어 내는 것과 같은 서로를 다독거릴 수 있는 마음의 징검다리를 놓았으면 좋겠습니다. yangjae005 [돌아온 양재천] 개발 초기에는 오물과 냄새나는 썩은 물이 흘러 아무도 찾지않던 양재천에 뒤늦게나마 깨우친 과감한 투자와 많은 사람들의 참여와 노력으로 맑은 물이 흐르면서 물고기와 새들이 찾아들고 아이들이 물장구치며 놀 수 있는 새로운 양재천으로 되살아 났습니다. 앞으로도 환경친화적인 국토개발로 현대적이면서도 자연과 사람을 이어주는 저 징검다리를 건너듯 사람과 자연이 함께 숨쉬는 아름다운 금수강산으로 만들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